【 앵커멘트 】 광주와 전남 재해 위험지역 중 절반 정도만 정비가 완료된 상황이라 폭우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신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누적 강수량은 1102㎜로, 1973년 이후 가장 많은 비가 쏟아진 겁니다. 이 여파로 북구 석곡천 제방 유실 사고가 나면서 주민들이 가슴을 쓸어내렸습니다. ▶ 스탠딩 : 신대희 2020년 8월에도 폭우로 신안교 일대 하천이 넘치면서 광주 도심이 잠겼습니다. 하지만, 홍수를 예방해 줄 우수 저류시설 설치 사업은 예산 문제로 아직 설계 단계입니다. ▶ 인터뷰 : 김양금 / 신안교 옆 상인 올해는 해수면 고온 현상으로 예년보다 더 강하고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자체가 안전 관리 강화에 나섰습니다. 하천 주변과 지하 차도, 침수와 산사태 취약 지역을 점검하고, 집중 호우 때 사전 대피와 통제를 강화하는 합동 훈련을 했습니다. ▶ 인터뷰 : 김효숙 / 석곡동 월산마을 통장 다만, 재해 위험 지역으로 지정된 광주 14곳과 전남 1028곳 중 정비 사업이 완료된 곳은 55% 수준입니다. ▶ 인터뷰(☎) : 송창영 / 광주대 방재안전학과 교수 이번 여름 극한 호우가 반복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시민 스스로도 폭우피해 예방에 철저한 대비가 요구됩니다. [출처 kbc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