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기획>한국건설, 재도약 방향타 잡아라

<4부>혁신만이 살길이다

(1)발굴보다 구조조정이 우선(하)

 지난달 11일 인천 영종대교에서 발생한 106종 추돌사고는 재해와 안전의 접점에 있는 사고였다. 사고 당일 가시거리가 10m도 채 안되는 짙은 안개 속에서 대형버스가 앞선 차량을 들이박으면서 연쇄추돌로 이어져 2명이 숨지고 130명이 다치는 등 무려 13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전국 안개상습구간의 도로는 329개소 1573㎞, 교량은 385개소 173㎞에 달한다. 이 가운데서도 안개가 잦은 1000m 이상의 장대교량은 인천대교, 광안대교 등 18개소에 달한다.

 후속대책을 보면 기상악화로 가시거리가 10m 미만일 경우 도로관리자가 긴급히 차량통행을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연쇄 추돌 방지를 위해 차량 후미에 ‘후방추돌경고등(안개등)’ 설치를 의무화하기로 했다. 또 해상대교 등에는 안개를 제거할 수 있는 안개소산장치와 차량 진입차단 시설 등을 추가로 설치키로 했다. 

 안개뿐이 아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와 자연재해는 사회ㆍ경제적 피해규모를 키우고 있다. 

 정부가 올해 발간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변 해양에서의 수온과 해수면 상승률은 전지구 평균인 0.85℃, 1.4mm/년 보다 약 2∼3배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특히 부산 해운대구지역의 해수면이 1m 상승할 경우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은 약 3963억 원으로 추정됐다.

 또 폭염에 의한 서울 지역의 사망자를 전망한 결과, 현재대비(2001∼2010) 미래(2036년∼2040년)에 인구 10만명 당 0.7명에서 1.5명으로 약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실제 소방방재청 자료를 보면 최근 10년간 이상기후 등 자연재해로 인해 280여명이 사망 또는 실종되고 23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재산 손실액은 7조3199억원으로 1970년대보다 무려 20배이상 증가했다. 

 전문가들이 꼽은 유망한 방재사업으로는 빗물저류조가 대표적이다. 송창영 한국재난안전기술원 이사장은 “사실상 ‘레드오션’에 직면한 건설산업에 재난관리와 국민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빗물저류조를 기반으로 한 지하공간 활용사업이 주목할만하다”고 말했다. 

 지하 빗물 저류조는 평소에는 주차공간 등으로 사용하다가 비가 오면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이미 도시에 산재한 학교 운동장과 테니스 코트 등이 지하 빗물 저류조 설치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에는 아파트 단지 등을 설계할 때 빗물 저장시설이나 침수방지시설을 넣는 경우가 많다.

 빗물 저장시설 외에도 도로, 철도, 댐 등 주요 인프라 시설의 설계기준을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에 맞춰 재조정하려는 것도 새로운 사업기회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