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노후화 이제는 대책이 필요하다

 

시민의 발인 지하철이 어느 순간 언제 멈출지 모르는 위험천만 지하철로 변모하였다. 52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앞 전동차와의 추돌사고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6일 후인 8일 이번엔 승객 350명을 태운 지하철 1호선이 300m를 역주행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두 사고의 원인은 노후된 신호등 및 열차 자동 정지장치(ATS) 고장이 원인이었다.

 

2013년에 국내에서 발생한 철도 사고는 232(철도안전정보포탈 통계현황 참조)이다. 2014년에도 벌써 45건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 사고들은 신호등 및 ATS 등의 제어시스템 결함, 전력공급장치 에서의 크고 작은 문제 등으로 인해 일어나며, 그 이유는 시설물의 노후화에 있다.

 

서울지하철 1호선은 1974815일에 개통 후 현재 40년 동안 운행되고 있다. 나머지 2,3,4호선 역이 개통 후 30여년 운행되어 지고 있다. 어떠한 시설이라 하여도 30여년을 사용하였다면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하물며 매일 운행되고 있는 지하철 시설물들의 노후에 따른 문제점은 이미 심각한 단계에 이르렀다. 전동차 역시 서울 지하철 14호선 가운데 1620년 된 차량은 584 대로 30% 가량 되고, 21년 이상은 6백 대로 30%가 넘으며, 이번에 추돌사고 및 역주행을 일으킨 차량은 각각 1991년과 1990년에 제작된 구형 차량이다. 전동차의 수명은 철도안전법에 정해져 있으며, 1990년대 초 15년으로 규제 하였으며, 2009년까지 전동차 수명을 40년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규제완화를 하였다. 결국엔 20133월에는 이 규정마저 사라져 안전진단만 통과하면 사실상 전동차를 무제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연이어 터지는 지하철 사고가 발생하자 서울시와 서울메트로는 2022년 까지 18,000억원의 예산을 통해 노후화된 전동차 교체 및 노후시설 재투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1~9호선 노선별로 제각각 운영되는 관제센터는 2019년부터 스마트 통합관제센터로 통합 운영할 계획이다.

 

하루에 700만명이 이용하는 지하철이 시한폭탄으로 변해선 안 되며 국민들의 안전을 지켜주지 못한다면 그 기관은 존재 가치가 없다. 사고가 일어난 후에야 시민들에게 보여주기 식의 반짝 행정만 하다가는 또 다른 사고가 언제, 어디에서 터질지 모른다. 이제부터라도 지하철에 대한 허울뿐인 안전점검이 아니라 가장 중요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뒷전으로 밀리지 않도록 진정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