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진상·처벌 진척 없다…잊지 않고 참사 교훈 되새겨야"

"재난 무감각 사회" 개인 대처 역량 향상·대응 체계 개선 필요

상설 진상 규명 기구·피해자 지원 법제화…"불필요 갈등 해소"

하염없이 흐르는 10년 세월 속에 잊지 않겠다는 약속도, 안전 사회 건설의 다짐도 녹슨 세월호 선체처럼 빛바래져 간다.

세월호가 304명의 무고한 생명과 함께 가라앉은 비극 이후에도 대형 사회적 참사는 잊을만하면 잇따르고 있다.

진도 앞바다에서 빚어진 비극을 바라보며 눈물로 새긴 교훈은 과연 무엇이었나.

'기억하겠다'던 우리의 약속은 여전한지, 불현듯 닥치는 재난에 대처할 준비가 됐는지, 안전 국가 건설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 다시 짚어본다.


"희미해진 교훈, 무엇 하나 해결되지 않았다"


최송춘 세월호 잊지않기 목포지역공동실천회의 공동상임대표는 세월호에 대해 "현재진행형"이라고 단언했다.

참사 3년여 만인 2017년 세월호가 목포신항만에 거치되자, 발 벗고 나서 지역 사회단체들을 모아 다양한 연대 활동을 펼친 주역이다.

최 대표는 "진상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고 여전히 대형 참사들은 잇따른다. 희미해진 세월호 참사 교훈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다.

'아직도 세월호냐'고 냉소하는 이들에게는 "10년이 흐른 지금까지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참사 재발 방지, 생존자·유족 트라우마 치유 등 어느 것 하나 해결된 게 있는지 다시 묻고 싶다"며 분개했다.

"세월호가 잊혀지는 순간부터 참사는 반복된다." 그는 온 나라가 비통했던 그날을 기억하는 시민들이 뭉쳐야 다시 있어선 안 될 비극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대중의 소망은 정치인들을 움직이게 하며 결국엔 국가 안전 체계를 만드는 원동력이 된다"며 "우리 스스로 세월호를 잊지 않았는지 되돌아봐야 할 때다. 참사 교훈이 남긴 '안전 사회 구축'이라는 과제를 꾸준히 소망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재난 무감각 사회, 당장 대처할 수 있나"


송창영 광주대 방재안전학과 교수는 세월호 이후 우리 사회에 대해 "여전히 재난에 무디다"며 냉철하게 평가했다.

송 교수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안전이 중요하다'는 인식 만큼은 시민 개개인에게 깊게 자리 잡았다"면서도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고개를 갸웃했다.

국가 차원의 대형 재난이 나면 분노만 할 뿐, 막상 내게 닥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는 잘 알지 못한다는 것이 송 교수의 진단이다.

그러면서 "맞닥뜨린 재난에 우왕좌왕하지 않고 상황 별로 즉시 대처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체계적인 교육과 온전한 체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재난 대응 컨트롤 타워도 개선 과제가 남아 있다고 짚었다.

송 교수는 "재난 직후 30분이 골든 타임이다. 재난·안전을 총괄하는 지자체의 초동대응에 피해 최소화가 달렸다. 지자체장들을 중심으로 각 위급 상황별로 어떻게 대처하고 취약점은 없는지, 있다면 어떻게 보완해야 하는지 실질적이고 항구적인 개선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생명안전법 제정, 사회적 갈등 해소 단초"


유해정 재난피해자권리센터장은 사회적 참사 피해자의 상처를 더 곪게 만드는 조롱 섞인 공격과 불필요한 갈등만큼은 멈춰야 한다고 지적한다.

'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으로 참여하며 참사 교훈이 담긴 책들을 공동 집필한 작가이기도 하다.

유 센터장은 "10년 전 세월호 참사에 이어 이태원 참사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재난 피해자와 그 유족들은 '진실만이라도 알려 달라'며 삭발·단식 등 투쟁으로 내몰려야 했다"면서 "그들을 가장 힘들고 지치게 만드는 것은 사회적 냉소다. '지겹다', '돈 필요하냐', '정치적으로 이용한다' 등 혐오 프레임이 덧씌워지면서 2차 가해가 흔히 발생한다"라고 밝혔다.

참사 희생자와 유족을 둘러싼 폄훼와 오해가 발생하는 배경에 대해선 결국 미흡한 진상 규명과 그로 인한 불명확한 책임 소재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이는 다각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기구를 제도화해야 한다는 주장과도 맞닿아 있다.

유 센터장은 "대규모 사회적 참사 대부분은 여러 사회 문제·현상이 얽혀있는 복합 요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위법과 책임 소재를 가려내기 쉽지 않다"며 "분야별 전문가들이 독립적으로 대규모 참사의 원인·배경을 조사할 수 있는 공식 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세월호 유족들이 염원했지만 국회에 4년째 잠들어 있는 생명안전기본법 법안에는 독립적인 조사 기구 상설화와 피해자 지원 대책이 담겨 있다. 궁극적으로는 안전 사회를 건설하자는 취지다"고 설명했다.

"참사 피해자들의 권리를 되찾고, 체계적으로 지원하며 소모적 갈등과 분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만큼,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유 센터장은 역설했다.

[출처 뉴시스]

#송창영(Song, Changyoung) #한국안전원 #한국재난안전기술원 #기업재난관리사 #기업재난관리사교육

#재난안전종사자 #재난안전종사자교육 #재난안전분야 전문교육 #어린이놀이시설안전관리자

#어린이놀이시설안전관리자교육 #어린이놀이시설안전관리자시스템